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Git 다루기 1 - 터미널을 이용해 커밋하기

본 게시물은 정보 전달 목적이 아닌 부트캠프 과정을 수료하며 개인적인 공부 목적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부정확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Git 설치하기

 

맥과 윈도우의 설치법이 각각 다르다.

 

윈도우라면 https://git-scm.com/downloads 에서 OS 버전에 맞는 파일을 내려받아 설치하면 된다.

 

맥의 설치법은 더 간단하다.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어만 입력하면 된다.

$ brew install git

 

설치 후 터미널에 git을 입력했을 때, 정보가 주르륵 나열된다면 성공이다.

 


2. 작업 폴더 생성 (로컬 레포지토리 만들기)

 

사용자의 로컬 디바이스에 깃을 저장하고 수정할 작업 공간을 만드는 과정이다.

폴더를 만들어야 하는데, GUI를 이용하거나 아래와 같이 터미널을 이용할 수 있다.

 

 

documents에 폴더 localgit을 생성했다.

 


3. 작업 폴더에서 깃 저장소 초기화(Git init) 실행

 

터미널의 디렉터리를 작업 폴더로 옮긴 후 깃 저장소를 초기화(Git init) 명령어를 입력한다.

하단을 보면 하늘색 왼쪽 디렉터리 박스 오른편에 연두색 'master' 항목이 새로 생겨난 것을 볼 수 있다. 

 

지금부터 이 폴더는 버전 관리가 가능한 로컬 저장소가 되었다.

 

ls -a 명령어를 이용해 숨김 폴더와 파일을 볼 수 있다.

.git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깃을 이용해 로컬 리포지토리에 파일 추가하기

test.txt 파일을 만들어보자.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 touch test.txt

 

파일이 생성되어 master 박스 옆에 ? 아이콘이 새로 생겨난 것을 볼 수 있다. 아이콘의 유형은 터미널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방금 생성한 touch.txt가 로컬 리포지토리에 추가되었음을 의미한다. 

 

깃에 파일을 추가하기 위한 명령어(git add + 파일명)를 입력해보자

 

박스의 색상과 아이콘이 바뀌었다. 이제 test.txt 파일은 깃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되었다.

 


5. 깃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된 파일 추적

깃 스테이징 영역에 파일이 제대로 추가되었는지 확인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git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면 깃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된 파일의 목록을 볼 수 있다.

 

git rm --cached + 파일명 명령어를 사용하면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되었던 파일을 제거할 수 있다.

파일이 완전히 삭제되는 것은 아니며, 로컬 폴더에는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6. 깃 커밋

수정 사항을 메인 레포지토리에 반영하는 과정이다. 

git commit + 파일명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넘어간다.

 

아래 화면에서 깃과 커밋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